본문 바로가기
산안법, 중대재해처벌법

빈도·강도법 위험성평가 폼 (현장 실사용 예시) - 바로 쓰는 양식 및 작성법

by 소르정_2 2025. 5. 3.
반응형

산업현장에서의 위험성평가는 근로자의 안전과 직결된 필수 요소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활용되는 기법 중 하나가 바로 빈도·강도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빈도·강도법의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평가 폼 예시와 작성 요령, 개선 포인트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빈도·강도법 위험성평가란?

빈도·강도법은 유해·위험요인의 발생 가능성(빈도, F)과 피해의 심각성(강도, S)을 수치화하여 위험성(R=FxS)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의 게시물을 참고하세요.

 

☞         빈도·강도법 자세히 보기

 

 

 

📋빈도·강도법 위험성평가 현장 실사용 예시 폼

아래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빈도·강도법 위험성평가 양식입니다. 이 양식은 유해·위험요인 파악, 위험성 계산, 허용 여부 판단, 개선대책 수립까지 한 번에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 형태의 엑셀 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주소를 남겨주세요

공정/작업명 유해·위험 요인 위험상황 및 결과 노출자 기존조치 빈도(F) 강도(S) 위험성(R=FxS) 허용여부 개선대책 및 추가 조치 담당자 완료일
예:
비계작업
추락 작업 중 발을 헛디뎌 추락, 골절, 사망 작업자 2명 안전난간설치 3 4 12 불허용 난간 보강, 추락방지대 착용 홍길동 2025-05-03
예:
접착공정
지게차와 사람 부딪혀 사고 위험 현장바닥에 통로 구분 없음 전체 작업자 통로 구분 없음 3 3 9 불허용 바닥에 색상 구분 도색(지게차, 사람) 홍길동 2025-05-03

 

 

 

📋빈도(F) 및 강도(S) 산정 기준 예시 

구분 점수 빈도(가능성) 강도(중대성)
1 매우 낮음 거의 없음 (3개월 1회 이하) 경미 (치료 불필요)
2 보통 가끔 (1주일 1회) 중간 (휴업 필요)
3 매우 높음 빈번 (1일 1회) 대 (사망, 장애)

 

 

 

📋빈도·강도법 작성 항목별 상세 설명

  • 공정/작업명 : 평가 대상 작업명 (예: 비계작업, 용접, 도장 등)
  • 유해·위험요인 : 해당 작업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예: 추락, 협착, 감전 등)
  • 위험상황 및 결과 : 위험이 발생했을 때의 상황 및 결과 예측 (예: 추락 시 골절 및 사망, 감전 시 심정지 등)
  • 노출자 :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인원 수와 직무 (예: 작업자 2명, 용접공 등)
  • 기존조치 : 현재까지 이행된 안전조치 내용 (예: 안전난간 설치, 보호구 지급, 안전교육 등)
  • 빈도(F) : 위험상황이 발생할 가능성,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위 표 참고)
  • 강도(S) : 위험이 현실화되었을 때의 피해 규모, 피해의 크기 (위 표 참고)
  • 위험성(R) : F x S 계산(빈도x강도)
  • 허용여부 : 기준에 따라 작업 가능 여부 판단, 사전에 정한 기준에 따라 허용/불허용 판
  • 개선대책 및 추가조치 : 불허용일 경우,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책 기재 (예: 보호구 보강, 안전지침 강화 등)
  • 담당자 / 완료일 : 개선 조치 실행 담당자와 완료 목표

 

 

💡 빈도·강도법 실무 활용 팁

1. 빈도·강도 기준은 자율 조정 가능

    → 각 사업장 특성에 맞게 빈도·강도 점수 기준을 세분화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2. 위험성평가는 정기적으로 갱신

    설비 변경, 작업방식 변화, 사고 발생 즉시 재평가해야 합니다.

3. 현장 근로자와 공유 필수

    위험성평가 결과는 반드시 현장 근로자들과 공유하고, 개선조치 이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4. 서류화뿐 아니라 시각화 병행

    중요 위험요소는 표지판, 라벨, 색상 등으로 시각적으로도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빈도·강도법 폼으로 안전 확보에 힘쓰자!

빈도·강도법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폼은 실제 사고를 예방하는 도구입니다.

특히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성평가 의무화에 따라, 이 폼은 소규모 사업장부터 대형 플랜트까지 폭넓게 적용 가능합니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폼 활용으로 현장 안전은 물론 법적 대응력까지 확보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